마르슬랭 마르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슬랭 마르보는 프랑스 군인으로, 1782년 알티야크에서 태어나 1854년 사망했다. 그는 군인 귀족 가문 출신으로, 소레즈 육군 사관학교에서 수학 후 1799년 제1 후사르 연대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나폴레옹 전쟁, 7월 왕정 시기에 걸쳐 복무하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고, 13번의 부상을 입었다. 그는 여러 훈장을 받았으며, 특히 그의 회고록은 당시 시대상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널리 호평받았다. 또한 문학 작품에도 등장하며, 프랑스와 캐나다 등지에 그의 이름을 딴 지명과 건물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레즈주 출신 - 에릭 로메르
에릭 로메르는 프랑스 뉴웨이브의 중심 인물이자 《카이에 뒤 시네마》 편집장, 그리고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등의 연작을 통해 인간관계와 감정의 미묘함을 탐구한 영화감독, 영화 평론가, 소설가이다. - 코레즈주 출신 -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그레고리오 11세는 아비뇽 유수를 끝내고 교황청을 로마로 되돌린 프랑스 출신의 교황이나, 위클리프 사상 단죄, 팔성인 전쟁 개입 등 보수적 면모와 그의 사망 후 서구 대이교 발생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 프랑스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도미니크 방담
도미니크 방담은 프랑스 제1제정 시대의 장군으로, 나폴레옹에게 인정받은 군사적 재능과 잔혹한 성격, 그리고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의 공훈, 쿨름 전투 포로, 워털루 전투 이후의 추방 등 파란만장한 삶으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프랑스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스탕달
스탕달(마리 앙리 베유)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이자 비평가로, 나폴레옹 군대 참여와 이탈리아 생활을 통해 『적과 흑』, 『파르마의 수도원』 같은 심리 묘사와 역사적 배경이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20세기 이후 재평가받아 프랑스 최고 작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스탕달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남기기도 했다. - 1782년 출생 - 도광제
도광제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로, 아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서구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 체제를 심화시키며 청나라의 쇠퇴를 초래했다. - 1782년 출생 - 니콜로 파가니니
니콜로 파가니니는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뛰어난 연주 기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24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하고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슬랭 마르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장바티스트 앙투안 마르슬랭 마르보 |
별칭 | '소(小) 마르보' |
출생일 | 1782년 8월 18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알티야크 |
사망일 | 1854년 11월 16일 |
사망지 | 프랑스 제2제국 파리 |
묻힌 곳 | 페르 라셰즈 묘지 |
소속 | 프랑스 공화국 프랑스 제국 프랑스 왕국 프랑스 왕국 프랑스 공화국 |
복무 기간 | 1799년 ~ 1848년 |
최종 계급 | 중장 (사단장) |
관련된 사람 | 장 앙투안 마르보, 사단장: (아버지) 앙투안 아돌프 마르슬랭 마르보, 마레샬 드 캉: (형제) 프랑수아 세르탱 드 캉로베르, 프랑스 원수: (사촌) |
이후 활동 | 귀족원 의원 |
전투 | |
참전 전투 | 나폴레옹 전쟁 마렝고 전투 아우스터리츠 전투 아일라우 전투 프리틀란트 전투 사라고사 공방전 에슬링 전투 바그람 전투 라이프치히 전투 워털루 전투 안트베르펜 공성전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
서훈 | |
훈장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장군 성 루이 왕립 군사 훈장: 기사 레오폴드 훈장: 사령관 오크 왕관 훈장: 대십자 |
2. 생애
마르슬랭 마르보는 프랑스의 군인으로, 나폴레옹 전쟁과 7월 왕정 시기에 활약했다. 알티야크 출신으로 군사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소레즈 육군 사관학교에서 교육받고 제1 후사르 연대에 자원 입대했다.[3]
피에르 오주로, 장 라네, 앙드레 마세나 등 여러 장군 휘하에서 복무하며 반도 전쟁, 러시아 원정, 1813년 독일 전역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라이프치히 전투에서는 적군 군주들을 체포할 뻔한 일화로 유명하다.[8] 워털루 전투에도 참전했으며,[7] 7월 왕정 시기에는 루이 필리프 1세의 신임을 얻어 마레샬 드 캉(준장)으로 진급, 앤트워프 공방전에 참전했다.[7] 이후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원정에 참여하여 1836년 중장으로 진급했다.[7] 1845년 귀족원 의원이 되었으나, 1848년 혁명으로 루이 필리프 1세가 실각하자 은퇴했다.[7]
2. 1. 초기 생애 (1782-1799)
마르슬랭 마르보는 1782년 프랑스 남서부 퀘르시의 고대 지역에 있는 알티야크에서 군사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3] 그는 장-앙투안 마르보 장군의 차남이었는데, 장군은 전 aide-de-camp였으며, 프랑스 국왕의 군사 가문의 기병 감찰관이었다.[4]1793년부터 1798년까지 소레즈 육군 사관학교에서 공부한 후, 1799년 9월 3일 자원 입대하여 제1 후사르 연대에 입대했다.[3] 장-마티외 세라 장군 휘하에서 복무했으며, 1799년 12월 1일에 상사 계급으로 진급했다. 1799년 12월 31일, 용감함을 인정받아 소위로 진급했다.[5]
2. 2. 나폴레옹 전쟁 시기 (1799-1815)
피에르 오주로 장군의 부관이 된 마르보는 1804년 7월 11일 중위로 진급했다. 1806년부터 1807년까지 프로이센 왕국 및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 동안 대육군 제7군단에서 복무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1807년 1월 3일 대위로 진급했고, 다음 달 아일라우 전투에서는 거의 목숨을 잃을 뻔했다.[7]
이후 장 라네와 앙드레 마세나 원수 휘하에서 반도 전쟁에 참전했으며, 1812년 러시아 원정에서 경기병 지휘관으로서 용맹을 떨쳤다.[7] 1812년 11월 15일 대령으로 진급하여 기병 연대장으로 1813년 독일 전역에 참전했다. 라이프치히 전투 첫날 아침, 마르보는 그의 연대가 호위병에게서 벗어난 러시아 차르 알렉산드르 1세와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를 체포할 뻔하여 전쟁의 흐름을 바꿀 뻔했다.[8] 라이프치히 전투와 하나우 전투에서 입은 부상에서 회복한 후, 백일천하 기간 동안 나폴레옹 1세 황제를 따라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7]
2. 3. 7월 왕정 시기 (1815-1848)
7월 왕정 동안, 마르보는 국왕 루이 필리프 1세와 그의 아들 오를레앙 공작 페르디낭 필리프의 신임을 얻어 중요한 군직을 역임했다. 그는 마레샬 드 캉(준장)으로 진급하여 1832년 앤트워프 공방전에 참전했다.[7]1835년부터 1840년까지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원정에 참여했으며, 1836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1845년 귀족원 의원이 되었으나, 3년 후 루이 필리프 1세가 실각하자 은퇴했다.[7]
3. 가족 관계
그의 아버지 장-앙투안 마르보 장군은 네 명의 아들을 두었지만, 그 중 성인이 된 사람은 장남 앙투안 아돌프 마르셀랭(준장)과 차남 장바티스트 앙투안 마르셀랭 두 명뿐이었다. 그는 어머니를 통해 제2 프랑스 제국 시대의 프랑스 원수였던 프랑수아 세르탱 드 캉로베르와 사촌 관계였다.[3]
1811년 11월 5일, 앙젤리크 마리 카롤린 페르손데브리에르(1790–1873)와 결혼하여 본뇌유쉬르마른의 랑시 성의 주인이 되었다.[9] 그들은 두 아들을 두었다.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아돌프 샤를 알프레드 (알프레드) | 1812–1865 | 화가, 역사가이자 군복학 연구자 |
샤를 니콜라 마르셀랭 (샤를) | 1820–1882 | 그의 딸 마르그리트가 할아버지의 유명한 회고록을 처음 출판 |
4. 저술 활동
마르보는 워털루 전투 이후 망명 생활을 하던 중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15][16]
- ''장군 로니야의 저서에 대한 비판적 논평, 전쟁의 기술에 대한 고찰'' (1820).
- ''프랑스 군사력 증강의 필요성;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를 달성하는 방법'' (1825).
첫 번째 책은 전쟁에 관한 조셉 로니야 장군의 논문에 대한 답변이었으며, 마르보는 전쟁에서 인간적 요소를 로니야의 순수한 이론과 효과적으로 대조했다. 두 번째 책은 프랑스군의 미래 발전을 위한 그의 권고 사항을 제시했다.

나폴레옹은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마르보의 첫 번째 책을 읽고 그에게 감사를 표하고 싶어했으며, 다시 활동하게 된다면 그를 ''부관''으로 임명하려 했다.[17] 이 책 덕분에 마르보는 나폴레옹의 유언에 언급되는 영예를 얻었다. 나폴레옹은 마르보에게 100000FRF을 수여하며 프랑스군의 영광을 옹호하고 비방자들과 배교자들을 굴복시키기 위해 계속 글을 쓰도록 권고했다.[18]
4. 1. 출판물
마르보는 워털루 전투 이후 망명 생활을 하던 중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15][16]- ''장군 로니야의 저서에 대한 비판적 논평, 전쟁의 기술에 대한 고찰'' (1820).
- ''프랑스 군사력 증강의 필요성;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를 달성하는 방법'' (1825).
첫 번째 출판물은 전쟁에 관한 조셉 로니야 장군의 논문에 대한 답변이었으며, 마르보는 전쟁에서 인간적 요소를 로니야의 순수한 이론과 효과적으로 대조했다. 두 번째는 프랑스군의 미래 발전을 위한 그의 권고 사항을 제시했다.
나폴레옹은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첫 번째 출판물을 읽었다. 그의 부관 앙리-가티엥 베르트랑 장군은 1821년 3월 14일 그의 일기에 이렇게 기록했다.
> 저녁에 황제는 나에게 마르보의 책을 건네주며 [...] 말했다. "그것은 내가 4년 동안 읽은 최고의 책이다. 그것은 나에게 가장 큰 기쁨을 준 책이다. [...] 그는 내가 했던 것보다 몇 가지를 더 잘 표현했는데, 전체적으로 그가 나보다 군단장이었기 때문에 더 잘 알고 있었다. [...] 그는 책 전체에서 '황제'라고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프랑스 왕 (루이 18세)에게 대령 계급의 임명을 원했다. 그것은 매우 분명하다. 그는 그렇게 하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비겁해 보이지 않기 위해 한 번 '황제'를 사용하고, 다른 한 번은 '나폴레옹'을 사용한다. 그는 마세나와 오제로우를 자주 언급하며, 에슬링 전투를 나보다 더 잘 묘사했다 [...]. 나는 마르보에게 반지를 보내 감사를 표하고 싶었다. 만약 내가 다시 활동적인 삶으로 돌아간다면, 그를 나의 ''부관''으로 임명할 것이다 [...].[17]
이 출판물은 마르보가 나폴레옹의 유언에 기억되는 영예를 얻게 했다.
> 마르보 대령에게 100000FRF을 수여한다. 나는 그가 프랑스군의 영광을 옹호하고, 그들의 비방자들과 배교자들을 굴복시키기 위해 계속 글을 쓰도록 권고한다.[18]
4. 2. 회고록
마르보의 명성은 1891년 그의 사후에 출판된 회고록 『마르보 남작 장군의 회고록』에 기반한다. 이 회고록은 군 생활과 당시 시대상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널리 호평받았다.[19] 아서 코난 도일은 "세계 최고의 군인 서적"이라고 극찬했다.[20]앤드루 랭의 이야기 모음집, 아서 코난 도일의 소설, 시어도어 루즈벨트의 저술,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등 여러 작품에서 마르보와 그의 회고록이 언급되었다.[20][27][28][29] 특히 코난 도일은 제라드 준장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창조할 때 마르보를 모델 중 한 명으로 삼았다.[26] 마르크 블로크는 저서 『역사가의 직무』에서 마르보의 다뉴브 강 도하 이야기를 역사적 비판의 예시로 사용했다.[31]
5. 문학 작품에서의 등장
마르보와 그의 회고록은 여러 문학 작품에서 언급되거나 등장한다.
- 앤드루 랭의 이야기 모음집에는 마르보의 회고록에서 발췌한 내용이 실려 있다. ''The Red True Story Book''(1895)에는 ''"마르보의 행진"'',[21] ''"아일라우. 리제트 말"'',[22] ''"마르보는 어떻게 다뉴브 강을 건넜는가"''[23]가, ''The All Sorts of Stories Book''(1911)에는 ''"러시아 병사는 어떻게 구출되었나"'',[24] ''"마르보와 젊은 코사크"''[25]가 수록되었다.
- 아서 코난 도일은 소설 ''마법의 문을 통해''(1907)에서 마르보의 회고록에 대한 감탄을 표했으며,[20] 나폴레옹 시대의 실존 인물들을 모델로 한 제라드 준장 캐릭터에 마르보를 포함시켰다.[26]
- 시어도어 루즈벨트는 옥스퍼드 대학교 강연 ''역사 속 생물학적 유추''(1910)와[27] 저서 ''책을 사랑하는 사람의 야외 휴가''(1916)에서 마르보를 언급했다.[28]
-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댈러웨이 부인''(1925)에서 주인공 클라리사 댈러웨이는 마르보의 회고록을 읽는다.[29]
- 필립 호세 파머의 SF 소설 시리즈 ''리버월드''(1967–1983)에서 마르보는 샘 클레멘스의 강 배 해병대 사령관,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경의 동료로 등장하지만, 전투 중 사망한다.[30]
- 마르크 블로크는 저서 ''역사가의 직무''(1949)에서 마르보가 다뉴브 강을 건너는 이야기를 역사적 비판의 예시로 사용한다.[31]
- 로널드 프레데릭 델더필드의 소설 ''To Serve Them All My Days''(1972)에서 주인공 데이비드 파울렛-존스는 마르보의 회고록에서 위안을 얻는다.[32]
6. 서훈
마르보는 프랑스 제1제국, 부르봉 왕정복고, 7월 왕정, 벨기에, 룩셈부르크 대공국으로부터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국가 | 훈장 | 등급 | 수여 날짜 |
---|---|---|---|
-- 프랑스 제1제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808년 10월 16일[1] | |
-- 프랑스 제1제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813년 9월 28일[1] | |
-- 부르봉 왕정복고 | 생루이 훈장 | 1827년 6월 6일[10] | |
-- 7월 왕정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831년 3월 21일[1] | |
-- 7월 왕정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836년 4월 30일[1] | |
레오폴드 훈장 | 1833년 3월 10일[11][12] | ||
곡수왕관장 | 1842년 9월 9일[13][14] |
6. 1. 프랑스 제1제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 기사: 1808년 10월 16일.[1]
- * 장교: 1813년 9월 28일.[1]
6. 2. 부르봉 왕정복고
마르보는 부르봉 왕정복고 시기인 1827년 6월 6일에 생루이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10]6. 3. 7월 왕정
마르보는 7월 왕정 시기에 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1831년 3월 21일)[1] 및 대장군(1836년 4월 30일)[1]으로 임명되었다.6. 4. 벨기에 왕국
벨기에 왕국에서 마르보는 1833년 3월 10일에 레오폴드 훈장 사령관 훈장을 받았다.[11][12]6. 5. 룩셈부르크 대공국
곡수왕관장 대십자(1842년 9월 9일).[13][14]7. 부상
마르보는 복무 기간 동안 총 13번의 부상을 입었다.[1] 주요 부상은 다음과 같다.
발생일 | 전투/사건 | 부상 부위 및 내용 |
---|---|---|
1807년 2월 8일 | 아이라우 전투 | 둥근 모자를 관통한 대포알 충격으로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 왼쪽 팔이 바요넷에 관통됨. |
1808년 11월 1일 | 아그레다 | 이마를 검에 베임. |
1809년 2월 9일 | 사라고사 공방전 | 상체 총상 관통. |
1809년 5월 22일 | 에슬링 전투 | 오른쪽 허벅지 총상 관통. |
1809년 7월 12일 | 즈나임 전투 | 왼쪽 손목 총상 관통. |
1811년 3월 14일 | 카살 노보 전투 | 얼굴을 검에 베이고, 배에 칼 자상. |
1812년 7월 31일 | 클랴스치치 전투 | 왼쪽 어깨 총상 관통. |
1812년 12월 4일 | 플리에샨차니치 | 오른쪽 무릎 창 자상. |
1813년 10월 18일 | 라이프치히 전투 | 러시아 바시키르족 기마 궁수가 쏜 화살에 오른쪽 허벅지 관통. |
1815년 6월 18일 | 워털루 전투 | 가슴 창 자상. |
1840년 5월 12일 | 알제리 원정 중 메데아 | 왼쪽 무릎 총상 관통. |
8. 기념
프랑스와 캐나다 등지에 마르보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와 건물이 있다.
장소 | 위치 | 설명 |
---|---|---|
마르보 광장(Place Marbot) | 프랑스 코레즈주 보리외쉬르도르도뉴 | 중심 광장 |
제네랄 마르보 거리(Avenue des Généraux Marbot) | 프랑스 코레즈주 알티약 | 주요 거리 |
마르보 호텔(Hôtel Marbot) | 프랑스 코레즈주 튈 | 샤토이자 코레즈주 의회의 소재지 |
마르보 호수(Marbot Lake) | 캐나다 퀘벡주 제임스 만 | 호수 |
마르보(Marbot) | 알제리 아인 데플라주의 타리크 이븐 지아드 | 마을의 이전 이름 |
참조
[1]
간행물
Marbot, Jean-Baptiste Antoine Marcelin
French Ministry of Culture
[2]
서적
Napoleon's Waterloo Army: Uniforms and Equipment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9
[3]
서적
The memoirs of Baron de Marbot, late lieutenant-general in the French army
https://catalog.hath[...]
Longmans, Green & Co.
1892
[4]
서적
Biographie universelle et portative des contemporains
https://books.google[...]
F. G. Levrault
1834
[5]
서적
The memoirs of Baron de Marbot, late lieutenant-general in the French army
https://catalog.hath[...]
Longmans, Green & Co.
1892
[6]
서적
The memoirs of Baron de Marbot, late lieutenant-general in the French army
https://catalog.hath[...]
Longmans, Green & Co.
1892
[7]
문서
Marbot, Jean Baptiste Antoine Marcelin, Baron de
[8]
서적
The memoirs of Baron de Marbot, late lieutenant-general in the French army
https://catalog.hath[...]
Longmans, Green & Co.
1892
[9]
서적
The memoirs of Baron de Marbot, late lieutenant-general in the French army
https://catalog.hath[...]
Longmans, Green & Co.
1892
[10]
웹사이트
List of recipients
https://www.saint-lo[...]
[11]
서적
Pasinomie, ou Collection complète des Lois, Décrets, Arrêtés, Avis du Conseil d'État et Règlements Généraux qui peuvent être invoqués en Belgique
H. Tarlier
1833
[12]
뉴스
France. Paris, 16 avril.
https://gallica.bnf.[...]
1833-04-17
[13]
서적
Almanach Royal et National pour l'an MDCCCXLVI, Présenté à Leurs Majestés et aux Princes et Princesses de la Famille Royale
Guyot et Scribe
1846
[14]
뉴스
Frankreich
https://viewer.eluxe[...]
1842-09-17
[15]
서적
Remarques critiques sur l'ouvrage de M. le lieutenant-général Rogniat, intitulé: Considérations sur l'art de la guerre
https://books.google[...]
Anselin et Pochard
1820
[16]
서적
De la nécessité d'augmenter les forces militaires de la France; moyen de le faire au meilleur marché possible
https://books.google[...]
Anselin et Pochard
1825
[17]
서적
Napoleon at St. Helena, The Journals of General Bertrand, January–May 1821
https://www.napoleon[...]
Doubleday
1952
[18]
웹사이트
Napoleon's Will and Testamemt
https://www.napoleon[...]
2021-10-01
[19]
서적
The memoirs of Baron de Marbot, late lieutenant-general in the French army
https://catalog.hath[...]
Longmans, Green & Co.
1892
[20]
서적
Through the Magic Door
http://www.gutenberg[...]
1907
[21]
서적
The Red True Story Book
https://www.gutenber[...]
1895
[22]
서적
The Red True Story Book
https://www.gutenber[...]
1895
[23]
서적
The Red True Story Book
https://www.gutenber[...]
1895
[24]
서적
The All Sorts of Stories Book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911
[25]
서적
The All Sorts of Stories Book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911
[26]
서적
The Adventures of Gerard
https://www.gutenber[...]
1903
[27]
서적
African and European Addresses
1910
[28]
서적
A Book Lover's Holiday in the Open
1916
[29]
서적
Mrs Dalloway
http://gutenberg.net[...]
1925
[30]
서적
Riverworld cycle of science-fiction novels
https://www.worldswi[...]
G. P. Putnam's Sons
1967–1983
[31]
서적
The Historian's Craft
https://openlibrary.[...]
Knopf
1949
[32]
서적
To Serve Them All My Days
https://www.goodread[...]
Hodder & Stoughton
1972
[33]
문서
Biographie universelle et portative des contemporains: Marbot, Jean-Baptiste Antoine Marcelin
[34]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Marbot, Jean-Baptiste Antoine Marcelin
[35]
문서
Biographie universelle et portative des contemporains: Marbot, Jean-Baptiste Antoine Marcelin
[36]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Marbot, Jean-Baptiste Antoine Marcel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